네팔이야기 1: 정신과 간호사 여기동 , 네팔을 만나다
“인생은 즐거운 여행이다(Life is enjoying journey)
인생은 웃음짓는 것이다(Life is laughing).
인생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Life is discussion)”
2011년 6월 21일 화요일
비행기로 인천공항을 출발했다. 공항에 민정이와 국영이가 배웅을 나와 잘 다녀오라고 인사를 해주어서 반가웠고 고마웠다.
비행기에서 창 밖을 바라보니 푸른 하늘과 하얀 구름들 그리고 산과 마을들을 보면서 자연은 신비롭고 거대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 자연 안에 사는 인간은 지극히 작은 존재이고 자연의 일부라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인간은 거만함을 버리고 자연 안에서 조화롭게 공존, 상생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나의 친구 무쿠와 인터넷으로 만난지 6개월 만에 드디어 네팔의 카투만두에 발을 디뎠다. 카투만두에서 시인, 전 시장, NGO 활동가들을 만났다. 노 시인은 나에게 자신의 시집을 선물했다. 그 시인은 나의 친구에게 정치보다는 휴머니즘에 관심을 가지고 조언을 했다고 한다.
무쿠와 The Bakery Café에 갔다. 그곳은 청각장애인을 종업원으로 고용하는 레스토랑이다. 그들은 종이와 연필로 주문을 받는다. 장애인이 일하는 모습은 참 아름답고 이들을 고용한 사장은 멋진 사람이다. 이 카페를 보면서 네팔의 정신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일할 기회를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클럽하우스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무쿠의 삶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대학생 시절 민주주의를 위해 정치활동을 했다. 어느 날 군인들이 집을 검문하여 가까스로 위험상황을 넘겼다고 한다. 마치 한국의 군부독재시절에 많은 대학생들이 민주주의를 열망하였듯이 네팔의 대학생들도 그러했다. 그는 네팔의회당(NCP) 활동가였고 당과 NGO를 연결하는 담당자였다.
과거에 그는 술을 혼자서 많이 마셨었고 커피를 많이 마셔 중독되었다고 한다. 그는 정말이지 정신건강과 클럽하우스를 좋아했고 그 일이 이제 자신의 사명이라고 여기고 있다.
호텔에서 이틀 밤을 보낸 뒤 무쿠의 고향 순사리로 가는 이타하리행 밤버스를 탔다. 12시간 동안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버스 차장 소년의 ‘인생은 여행, 토론, 여행이다’라는 말에 무쿠와 나는 감동을 받았다.
무쿠의 집에는 부모님이 단둘이 살고 계시고 동생 더르마는 결혼을 하여 부인과 아들 이점과 함께 산다. 여느 시골의 부모님처럼 나를 아들로 여겨주시고 매끼 맛있는 밥을 챙겨주신다. 하루 종일 밖에 나가서 사람들을 만나고 집에 돌아와 저녁을 먹고 부모님과 더르마와 함께 농담을 하고 장난을 치면서 박장대소를 한다. 어느덧 나는 네팔의 코메디언이 되어 내가 말하고 행동을 하면 가족들이 크게 웃는다.
아타하리에 와서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무쿠가 운영하는 그라민재단의 여성 회원들, 공무원, 농업연구센터, 비랏너걸의 간호대학, 정신병원과 부속 간호대학, 지역사회 리더, 그리고 무쿠의 친구들을 만났다.
무쿠와 나는 만나는 사람마다 내가 네팔에 온 목적과 지역사회 정신간호사업, 클럽하우스 모델을 소개하면 사람들은 큰 감동을 받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